근로장학금(국가근로)은 등록금 부담을 줄이면서 실무 경험까지 쌓을 수 있는 대표 제도입니다.

2025년 기준 시급·근로시간·선발 기준·신청 절차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- 신청 채널: 한국장학재단 누리집/모바일(국가장학금 통합신청과 함께)
- 선발 기본: 대한민국 국적, 재학생, 직전학기 C0(70점/100점) 이상, 학자금 지원구간 9구간 이하(우선선발: 기초·차상위·장애·다자녀 등)
- 시급(2025-2): 교내 10,030원, 교외 12,430원
- 근로시간: 학기 중 월 최대 80시간, 방학 중 주 40시간, 학기당 최대 640시간(특별기준 시 800시간)
- 최저임금(참고): 2025년 시간급 10,030원 시행
교내·교외 근로장학 비교(2025)
항목 | 교내 근로 | 교외 근로 |
---|---|---|
시급(2025-2) | 10,030원 | 12,430원 |
학기 중 근로 | 월 최대 80시간, 1일 최대 8시간 | 월 최대 80시간, 1일 최대 8시간 |
방학 중 근로 | 주 40시간 이내(집중근로 가능) | 주 40시간 이내(집중근로 가능) |
학기당 총량 | 최대 640시간(특별기준 최대 800h) | 최대 640시간(특별기준 최대 800h) |
비고 | 학교 행정부서·도서관 등 배치 | 공공·교육기관 등 외부 근로지(교외 시급 상향 관행) |
자격·선발 기준(요약)
- 기본: 국적 요건, 재학생, 직전학기 C0 이상,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
- 우선선발: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·장애인·다자녀 등 사회배려대상, 미선발자 우선 권고(60% 이상)
- 대학별 추가 기준: 구간 상한·가점 등은 대학 공지 확인(예: 일부 대학은 학기중 상한·순위 자체 기준 운용)
신청 일정·채널(예: 2025-2차)
- 통합신청 기간: 2025.08.13(수) 09:00 ~ 09.10(수) 18:00
- 신청 경로: 한국장학재단 누리집/앱 → 국가장학금·국가근로 통합신청
- 선발·배정: 대학 장학팀 심사(구간·성적·적합성) 후 근로지 배정·협약 → 근로 시작(대학 공지 상이)
근로시간·급여 정산 체크리스트
- 출·퇴근 기록: 전자·서명대장 등 근로일지 필수(시간 단위 오차 최소화)
- 월 상한: 학기 중 월 80시간 초과 불가, 방학은 주 40시간 준수
- 학기 총량: 기본 640시간, 장애학생 봉사·농어촌 유형은 예외적으로 확대 가능(최대 800h)
- 시급 변동: 최저임금 변동 시 교내 시급 단가도 연도 경계(‘26.1~2월)에서 변동 가능 안내
자주 하는 실수·유의사항
- 통합신청 미참여: 국가장학금 통합신청 기간을 놓치면 근로 선발·배정이 지연될 수 있음
- 대학별 추가 요건 간과: 일부 대학은 구간 상한·내부 순위를 운영(예: 특정 구간 우선)하므로 대학 공지 필독
- 시간 초과: 월 80h, 학기 640h를 넘기면 지급 제한 및 배정 취소 가능
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학기 중 주 몇 시간 일할 수 있나요?
주 단위 제한은 대학·근로지 운영에 따르나, 월 80시간 상한을 넘을 수 없습니다. 방학은 주 40시간 이내입니다.
Q2. 교외 시급이 더 높은 이유는?
2025-2 기준 교외는 12,430원으로 책정되는 사례가 일반적이며(대학 공지 다수), 교내는 최저임금 수준을 반영합니다.
Q3. 시험기간에도 근로 가능한가요?
가능하지만 대학 지침에 따라 축소·조정될 수 있으며, 성적 저하 방지를 위해 유의 안내가 있습니다.
Q4. 선발 후 바로 근무하나요?
대부분 사전교육·협약 후 근로 시작합니다(대학별 안내 확인).
출처·근거(공식)
-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교육부·한국장학재단): 2025년 2학기 국가장학금/근로장학금 통합신청 안내(시급·근로시간·선발기준) — 2025-08-19.
- 고용노동부 카드뉴스: 2025년 최저임금 시간급 10,030원 — 2025-01-09.
- 서울대·중앙대·인하대 등 대학 공지: 집중근로·시급·시간 상한 예시(대학별 상이 가능). — 2025-04~08.
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실제 신청·선발은 한국장학재단 및 대학 장학팀 공지에 따릅니다. (최종 업데이트: 2025-09-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