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출퇴근·여행 러들이 가장 많이 묻는 ‘패스/교통카드/환승’ 정답만 모았습니다.

2025년 최신 환승 규칙, 기후동행카드 가격·구매처, K-패스 환급 기준까지 10분 만에 셋팅 끝!
개요
이 글은 서울(수도권 통합요금권)에서 쓸 수 있는 패스·교통카드와 환승·할인 규칙을 한눈에 정리합니다.
기후동행카드(30일권·단기권), 티머니/캐시비 기본, K-패스(정부 환급형)을 중심으로 ‘언제/무엇을’ 선택해야 비용을 최소화하는지 실전 기준을 제시합니다.
자격/대상
- 지역/적용: 서울 전역 및 수도권 통합요금권(서울·경기·인천 대부분의 버스/지하철)
- 기후동행카드: 일반 30일권(자전거 포함/미포함 선택), 청년(만 19–39세) 할인 제공
- K-패스: 월 15회 이상 이용 시 환급(일반·청년·저소득·지자체 추가형 등)
- 교통카드: 티머니/캐시비(실물·모바일·후불/선불) — 환승할인 적용의 기본 수단
- 제외/유의: 동일 노선 재승차, 하차 미태그, 시간 초과, 일부 민자노선 별도요금 등은 환승할인 제외
지원내용/금액 또는 수수료/금리
- 기후동행카드 30일권: 자전거 포함 65,000원(청년 58,000원), 미포함 62,000원(청년 55,000원) — 서울 버스·지하철 무제한(서비스 범위 확인 필수)
- 기후동행카드 단기권: 1일 5,000원 · 2일 8,000원 · 3일 10,000원 · 5일 15,000원 · 7일 20,000원(따릉이 미포함)
- K-패스 환급: 월 15회 이상 사용 시 이용액의 일정 비율 환급(일 최대 2회 적립 원칙, 지자체형은 완화 가능). 세부 비율은 지자체/유형별 상이
- 기본요금(참고): 2025-06-28부로 수도권 성인 기본요금 1,550원으로 조정. 거리비례 추가 요금 적용
비교 표
항목 | 핵심정보 | 비고 |
---|---|---|
환승 할인 규칙 | 하차 후 30분 이내(21:00~익일 07:00은 60분) 다음 수단 승차 시 적용, 최대 4회 환승(총 5회 탑승) | 동일 노선/차량 재승차 불가, 하차 미태그 시 추가요금 |
기후동행카드 30일권 | 버스·지하철 무제한, 자전거 포함 65,000원(청년 58,000), 미포함 62,000원(청년 55,000) | 서비스 범위 노선 확인 권장(노선 확대 수시 반영) |
기후동행카드 단기권 | 1/2/3/5/7일(5천/8천/1만/1.5만/2만) | 관광·주말 집중 이용자 유리, 따릉이 미포함 |
K-패스(환급형) | 월 15회 이상 이용 시 다음 달 환급(유형별 차등) | 지자체 추가형(더 경기패스·인천 I-패스 등) 별도 규정 |
교통카드 | 티머니/캐시비(실물·모바일·후불/선불) 환승할인 기본 | 모바일 결제는 단말·통신사 정책에 따라 제한 가능 |
신청기간/채널
- 기간: 상시(기후동행카드 30일권은 충전일 포함 30일 유효, 단기권은 선택 일수 유효)
- 온라인: T-money GO/App 및 Tmoney Card & Pay에서 카드 등록·충전, 청년할인 등록
- 오프라인: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처(지하철역 고객센터 등). 혼잡 시간대 대기 가능
준비서류·절차
- 기후동행카드 선택: 30일권(자전거 포함/미포함) 또는 단기권(1·2·3·5·7일) 결정 → 서비스 범위 지도에서 자주 타는 노선 포함 여부 확인
- 발급/등록: 모바일(안드로이드) 또는 실물카드 구매 → T-money GO/App 또는 Tmoney Card & Pay에서 카드번호 등록 및 청년할인 등록
- 환승 규칙 적용: 승·하차 모두 태그, 30분(야간 60분) 이내 다음 수단 탑승, 동일 노선 재승차 금지. 하차 미태그 시 다음 승차에 환승 미적용
자주 묻는 질문(FAQ)
- Q. 환승할인은 정확히 어떻게 적용되나요?
A. 하차 후 30분(21:00~07:00는 60분) 이내 다음 수단을 타면, 최대 4회 환승(총 5회 탑승)까지 거리누적 요금으로 계산됩니다. 동일 노선 재승차 및 하차 미태그는 제외됩니다. - Q. 기후동행카드 30일권과 단기권 무엇이 유리하죠?
A. 매일 대중교통을 쓰면 30일권(청년할인 시 추가 절감), 주말/단기 이용 위주면 단기권이 유리합니다. 따릉이가 필요하면 ‘자전거 포함’ 30일권을 선택하세요. - Q. K-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중 무엇을 고를까요?
A. 매일 통근이면 기후동행카드 무제한 성격이 단순하고, 이용일수가 들쭉날쭉하면 K-패스(환급형)가 유연합니다. 지자체 추가형(더 경기패스·인천 I-패스 등)이면 환급 조건이 더 완화될 수 있어 거주지 혜택을 확인하세요. - Q. 2025년 요금 인상은 반영됐나요?
A. 기본요금 1,550원(2025-06-28 시행) 기준으로 환승·거리요금이 계산됩니다. 정기권(지하철 통근권) 금액은 일부 노선 별도요금 등으로 변동 여지가 있어 확인 필요입니다(서울교통공사·서울시 공지 재확인).
출처·근거(공식)
-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— Climate Card 안내(30일권·단기권, 2025.07 기준)
- 서울특별시 — 통합환승 할인제도(수정일 2025-09-03)
- 서울특별시 — 교통 요금 안내(2025-06-28 요금조정 반영)
-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— K-패스 10개월 300만명 돌파(보도자료, 2025-03-03)
- 티머니 — Foreigner Guide(환승/사용 안내, 게재일 미표기)
- 캐시비 — 이용안내(게재일 미표기)
- 서울특별시 —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처(수정일 2024-02-29)
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최종 요건은 반드시 공식 사이트에서 재확인하세요. 최종 업데이트: 2025-09-12.